해부학

전거근(serratus anterior)와 상완이두근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긍정적이고 사랑스런 혀니 2019. 6. 29. 14:43
728x90
반응형

전거근 (serratus anterior)는 톱니모양으로 기시하여

하부섬유들은 외부복사근과 깍지 낀 모양으로 생겼습니다.

전거근은 강한 견갑골 전인근(scapular protractor)으로 

흉벽에 견갑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상완의 근기시부를 고정하여서 견관절의 운동을 도와 줍니다.

이 전거근이 약해지면 견갑골이 날개모양으로 들려지는 익상견갑골이

될수 있으니 유의 하여야 합니다.

늑골의 앞 바깥쪽 부분과 겨드랑이 아래에서 만져 볼수 있습니다.

 

전거근의 기시는 

위쪽 8번째 늑골의 외측면

(Outer surface of upper 8 ribs)

 

전거근의 정지는

견갑골이 척추연

(Vertebral border of scapular)

입니다.

 

전거근의 작용은 

견갑골 전인(Protraction of scapular)

견갑골 상방회전(Upward roration of scapular)

흉벽에 견갑골 고정

(Stabilizes scapular against chest wall)

 

전거근의 신경지배는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 c5,6,7) 입니다.

상완이두근(Beceps bracuii)은팔의 2개의 머리의 뜻으로

라틴어입니다.

힘줄은 주와 에서 만져볼수 있습니다.

 

 

상완이두근의 기시는

장두는 견갑골의 관절상결절(long head-supraglenoid tubercle of scapular)

단두는 견관절 오훼돌기(short head- coracoid process of scapula)

 

상완이두근의 정지는

요골조면(Tuberosity of radius)

입니다.

 

상완이두근의 작용은

주관절관절(flexion of elbow)

전완 회외(Supination of forearm)

단두- 견관절 골곡(Short head -flexion of shoulder)

입니다.

 

상완이두근의 신경지배는

근피신경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