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척추에 대해서 알아보고 흉쇄유돌근과 사각근의 위치를 알아봅시다

긍정적이고 사랑스런 혀니 2019. 7. 14. 10:29
728x90
반응형

척주(Vertebral column)은

경추(Cervical vertebrae) - 목뼈은 7개

흉추(Thoracic vertebrae) - 등뼈는 12개

요추(Lumbar) - 허리뼈는 5개

천골(Sacrum) - 엉치뼈는 5개

미골(Coccyx) - 꼬리뼈는 4개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척주의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1.극돌기(Spinous process)은 가시돌기라고 합니다.

극돌기는 척추뼈 뒤쪽 가운데에 있는 부분입니다.

2.추궁판(Lamina)은 척추뼈고리판이라고 합니다.

3.횡돌기(Transverse process)은 가로돌기는 근육이 붙어 있는부분으로

척추의 양쪽에 뻗어 있는 부분입니다.

4.추궁근 (Pedicle)은 척추뼈고리뿌리입니다.

5.추체(Body)은 척추뼈몸통은 2개의 가로돌기로 둘러싸여 있고

척추의 앞부분에 있습니다.

6.추공(Vertebral foramen)은 척추뼈구멍입니다.

7.상관절면(Superior articular fact)은 위관절면입니다.

8.하관절면(Inferior articular fact)은 아래관절면입니다.

9.추간판(Intervertebral disc)은 척추사이원반을 말합니다.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은 목빗근이라고 합니다.

 

흉쇄유돌근은 근육이 붙어 있는 부분

흉골,쇄골,유양돌기의 명칭에 유래해서 만든이름입니다.

목의 양쪽옆에서 앞쪽으로 기시점과정지 사이에 비스듬한 

근육이 흉쇄유돌근입니다.

 

흉쇄유돌근의기시는 

흉골병(Manubrium of sternum)은 복장뼈머리라고 하고

또하나는 쇄골 내측(Medial clavicle)은 빗장뼈이 기시점입니다.

흉골병은 둥근 힘줄로 되어 있고 쇄골내측의 1/3안쪽에 있습니다.

 

흉쇄유돌근의 정지는

유양돌기(Mastoid process)은 꼭지돌기라고 합니다.

 

흉쇄유돌근의 작용은

양측 모두  목 굴곡(Flexion of neck)에 작용합니다.

한쪽만 작용하는것은 외측 굴곡(Lateral flexion)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합니다.

 

흉쇄유돌근의 신경지배은

부신경(Accessory nerve) 제 11뇌신경입니다.

 

사각근(Scalens)은 목갈비근입니다.

 

사각근의 

전사각근(Scalenus anterior)

중사각근(Scalenus medius)

후사각근(Scalenus posterior)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각근의 기시는

경추 횡돌기(Tranverse processes of cervical vertebrae)입니다.

 

사각근의 정지는

제 1 늑골의 전내측-전,중사각근

(First rib(anterior and medial scalenus)

제 2 늑골의 후측- 후사각근

(posterior to 2nd rib(posterior scalenus)

입니다.

 

사각근의 작용은

양쪽 근육의 작용으로 숨을 들이쉬는 동안에는

제 1늑골을 들어 올리고 ,목굴곡 보조를 합니다.

한쪽 근육만 작용할때는 같은쪽의 외측굴곡 보조입니다.

 

사각근의 신경지배는

c6,7,8 신경기지(Branches of c6,7,8)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