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기립근(Erector spinae)과 두판상근,경파상근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두판상근(Spienius capitis)과 경판상근(splenius cervics)의 특징을 알아봅시다.
두판상근(Spienius capitis)은 머리널판근이라고 합니다.
두판상근(Spienius capitis)의 기시는
항인대(Ligamentum nuchae)은 목덜미인대 입니다.
제 7 경추 (Lower cervical vertebra(C7)은 목뼈 입니다.
제 1~3 흉추(Upper thoracie vertebrae(T1,2,3)입니다.
경판상근(Splenius cervics)은 목널판근입니다.
경판상근(Splenius cervics)의 기시는
제 3~6 흉추는 (Upper thoracic vertebrae(T3~6)입니다.
두판상근(Spienius capitis)의 정지는
후두골과 유양돌기(Mastoid process and occipital bone)입니다.
경판상근(Splenius cervics)의 정지는
제 1~3 경추 횡돌기 (Upper cervical vertebrae(transverse process of C1,2,3) 입니다.
작용은
양쪽 모두 작용하는 것은 목신전(Extension of neck)입니다.
한쪽만 작용하는 것은 같은 방향으로 머리회전(Rotation of head to same side)입니다.
신경지배는
경신경의 후지(Posterior branches of cervical nerve)입니다.
목후면의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사이에서 만질수 있는 근육으로
판상근육은 붕태라는 의미의 라틴어로 심부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입니다.
척추기립근(Erector spines)은 흉요부막과 항근막에 덮여 있습니다.
횡돌간근보다는 표층에 있고 외측의 장늑근(Iliocostails)은
늑골전체에 걸쳐서 연결된 근육입니다.
내측부에 있는 극근과 중간부에 있는 최장근(Longissimus)은
두개부,경추,흉추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최장근의 정지부는 두판상근의 심부에서 볼수 있는 근육입니다.
장늑근(Iliocostails)은 엉덩갈비근으로
장늑근(Iliocostails)의 기시는
흉요부건막(Thoracolumbar aponeurosis)은 등허리널힘줄이라 합니다.
늑골후부(Posterior rib)은 갈비뼈 후부이라 합니다.
최장근(Longissmus)은 가장긴근으로
기시는 흉요부건막(Thoracolumbar aponeurosis)
요추,흉추 횡돌기(Lumbar and thoracic transverse processes)입니다.
극근(Spinalis)은 가시근이라고 하고
기시는
항인대(Ligamentum nuchae)은 목덜미인대입니다.
경추,흉추의 극돌기 (Cervical and thoracic spinous processes)입니다.
장늑근(Iliocostails)의 정지는
늑골후부(Posterior ribs)으로 갈비뼈뒤부분입니다.
경추 횡돌기(cervical transverse process)으로 목뼈가로돌기입니다.
최장근(Longissmus)의 정지는
경추,흉추 횡돌기(Cervical and thoracic transverse processes)
유양돌기꼭지돌기(Mastiod process)입니다.
극근(Spinalis)의 정지는
경추,흉추 극돌기(Cervical and thoracic spinous processes)
후두골(Occipical bone)입니다.
작용은
양쪽 모두작용할때는 척추 신전입니다.
한쪽만 작용할때는 척추 외측굴곡입니다.
신경지배는
척수신경의 후지(Posterior branches of spinal nerve)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