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경골(tibia)와 비골(fibula)의 구조을 알아봅시다

해부학

by 긍정적이고 사랑스런 혀니 2019. 7. 3. 22:35

본문

728x90
반응형

비골(fibula)는 종아리뼈로

주상돌기(Styloid process)붓돌기

비골두(Head)종아리뼈머리

비골경(Neck)종아리뼈목

골간연(Intecrosseous border)뼈사이모서리

외과(Lateral malleous)가쪽복사

비골간(shaft)종아리뼈줄기

 

경골(Tibia)은 정강뼈로

내측과(Medial condyle)안쪽 관절융기

외측과(Lateral condyle)가쪽 관절융기

경골조면(Tibial tuberosity)정강뼈거친면

넙치선(Soleal line)가자미근선

경골간(shaft)정강뼈줄기

골간연(Intercrosseous border)뼈사이모서리

내과(Medial malleolus)안쪽복사

 

골반과 하지의 돌출된 뼈을 알아볼까요?

 

1.장골능(Iliac crest)은 관골,전상장골극에서 후상장골극까지를 말합니다.

2.전상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은 장골능의 가장자리에서

앞쪽으로 돌출된 부위를 말합니다.

3.대퇴골(Femur)의 대전자(greater trochanter)은 고관절을 이루고 있는데

대퇴골의 외측 근위부에 돌출되어 있는 뼈를 말합니다.

4.치골결합(Pubic symphysis)은 골반대 의 전중관절입니다.

5.대퇴골의 내측상과(Medial epicondyle)은 대퇴골 하부의 

내측면의 평대부라고 합니다.

6.대퇴골의 외측상과(Lateral epicondlye)은 대퇴골의 하부의 

외측면의 평대부라고 합니다.

7.슬개골(Patella)은 무릎모자라고 도 합니다.

8.비골두(Head of fibula)은 비골 상단에 융기된 뼈로 

대퇴골 외측상과 아래에 있습니다.

9.경골조면(Tibial tuberosity)은 경골의 상부 전면에 있는 큰 융기 입니다.

10.경골간(Shaft of tibia)은 정강뼈로 경골조면 아래에 있으면

날카로운 가장잘리로 뼈 전체의 길이를 만져 볼수 있습니다

11.내과(Medial malleolus)은 내측 복사뼈로 경골하단 에 위치해 있습니다.

12,외과(Lateral malleolus)은 외측복사뼈라고 하며 비골하단에 뽁쪽한 부분을 말합니다.

13.종골(calcaneus)은 발꿈치 뼈라고 합니다.

14.좌골조면(Iscial tuberosity)은수직으로 앉으면 체중을 지탱해주는

돌출된 뼈라고 합니다.

15.미골(coccyx)은 척추미부의 끝으로 양쪽 엉덩이 사이에 깊이

들어가 있습니다.

16.천골(sacrum)은 요추아래에 구부러진 삼각형의 뼈입니다.

17.후상장골극(Posterior superior iliac spine)은 장골능후면 말단부에

융기된 뼈로 천장골관절 경계면의 체표면에는 보조개 같이 

움푹 들어 있습니다.

그곳의 바로 윗부분이 후상장골극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