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극상근(가시위근)suspraspinatus/극하근(가시아래근)infraspinatus /오훼완근(부리위팔근)coracobrachails특징알아보기

해부학

by 긍정적이고 사랑스런 혀니 2019. 6. 26. 02:55

본문

728x90
반응형

극상근(supraspinatus)는 상완골  대결정에 정지되어 있습니다.

SIT근육중에 하나인 극상근은 수축하여 외전운동을 하게 되면

상완골두를 관절와 쪽으로 당기게 되어서 삼각근이 최소의 힘으로 작용할수 

있도록 하게 합니다.

극상근은 견관절낭을 보강해 주는 회전근 덮개 근육입니다.

견갑극을 따라서 붙어 있는 승모근을 귀쪽으로 올리는 동작을

할때 만져지는 근육입니다.

 

극상근의 기시는  견갑골의 극상와 (supraspios fossa of scapula)에서 시작하여

극상근의 정지는 상완골의 대결절(Greater tubercle of humerus)에 있습니다.

 

극상근(Supraspinatus)의 작용은 견관절 외전 운동을 하면 상완골두를 고정시켜주는 

작용을 합니다.

 

극상근의 신경지배는 견갑상신경입니다.

Suprascapular nerve(c5,6)

극하근(infraspinatus)은 SIT근육중의 하나인 근육으로 견관절낭을 보강해주는

회전근덮개 근육입니다.

극하근은 견관절 외전할때 소원근,대원근과 함께 상완골두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돕는 근육입니다.

견갑극 아래에 만져 지는 근육입니다.

 

극하근의 기시는 견갑골의 극하와(infraspinous fossa of scapula)

극하근의 정지는  상완골의 대결절(Greater tubercle of humerus)

에서 있습니다.

 

극하근의 작용은 견관절 외회전(lateral rotation of shoulder)과 신전(extension of shoulder)을 합니다.

 

극하근의 신경지배는 견갑상신경입니다.

Suprascapular nerve(c5,6)

오훼완근(coracobrachialis)의 기시는 견관골의 오훼돌기(coracoid process of scapula)에서

오훼완근의 정지는 상완골체 내측연의 중간(middle of medial border of humeral shaft)입니다.

 

오훼완근의 작용은 견갑골 골곡(flexionof shoulder)과 내전(adductionof shoulder)입니다.

 

오훼완근의 신경지배는 근피신경(musculocutraneous nerve)C5,6,7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